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2022년 무료 독감예방접종 시기 코로나 증상

독감예방접종 무료대상

독감 VS 코로나 구분법

 


 

 

 

 


 

2022년 9월 21일부터 2023년 4월 30일까지 어린이, 임산부, 노인, 장애인, 취약계층 대상으로 독감(인플루엔자 4기) 백신 무료로 예방접종을 시행해요. 어린이는 생후 6개월부터 만 13세까지, 어르신은 만 65세 이상, 취약계층은 약 13여만명, 임산부에게 무료 예방 접종이 가능해요.

 

 

 


 

따뜻한 봄, 무더운 여름, 선선한 가을 시즌보다 일교차가 심하고 매서운 한파가 찾아오는 겨울 철에 독감 주의가 더욱더 필요해요. 큰 일교차 때문에 남녀노소 상관없이 자연 면역 상태가 떨어져 있기 때문이죠! 또한, 올해 2022년은 예전과 달리 독감과 코로나가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도 우려되기 때문이에요.

 

 

 


 

9월 21일부터 어린이, 임산부, 노인, 취약계층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4기 백신 무료 예방접종을 하고 있어요. 트윈데믹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많은분들이 독감 예방접종을 하기 위해 가까운 병원을 찾고 있어요. 코로나19가 소강 상태를 보이는 가운데 동계시즌 독감 주의보가 발령되면서 미리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을 추천 드려요.

 

 

 


 

그럼, 독감 백신과 코로나 백신을 한 번에 다 맞아도 될까요? 가능은 하지만, 컨디션이 나쁘거나 코로나 백신에 약간의 부작용이 있는 분들은 한 번에 다 맞는 것보다 순서대로 하나씩 맞는 것이 좋아요.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나 겨울 시즌 동안 바이러스 증식이 더욱더 쉬워지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 환자가 늘어날 수 있어요.

 

 

 


 

동계 시즌처럼 차고 건조한 공기가 사람의 호흡기 점막을 약하게 하면서 감기나 기관지염 등에 걸리기 쉬워요. 특히, 아침 기온이 뚝 떨어지는 날에 감기 걸리기 쉽고, 독감에 더욱 취약할 수 있어요. 독감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폐렴과 뇌수막염 등 큰 호흡기 질환을 유발 시킬 수도 있어요.

 

 

 

 

 


 

독감과 코로나 증상 확인 방법!

 

 

 


 

독감 인플루엔자 증상과 코로나19 증상의 차이가 있을까요? 계절과 상관없이 걸리는 코로나와 달리 독감은 주로 추운 겨울철에 잘 걸리는 차이점이 있어요. 하지만, 증상은 유사해요. 특히, 발열과 기침을 동반하는 코로나 증상과 독감 인플루엔자 증상은 감기와 똑 같은 증상을 보이고 있어요.

 

 

 


 

그럼, 독감과 코로나, 감기 증상 등을 확인할 방법이 있나요? 일반 감기와 독감의 증상 순서가 거의 유사 하기 때문에 큰 차이점은 없어요. 그러나, 독감과 코로나는 증상 순서로 구분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 되었어요. 보통, 감기나 독감은 기침 증상부터 시작해 콧물, 발열 증상을 보일 때가 많아요.

 

 

 


 

반면, 코로나19는 첫번째 증상으로 발열을 보이고 있어요. 가정에서 자가진단 키트로 코로나 검사가 가능해요. 하지만, 독감 인플루엔자는 병원을 직접 방문해 검사를 진행해야 해요. 미리 증상 순서를 알고 있다면, 대략적으로 독감 또는 코로나인지 추측이 가능해요.

 

 

 


 

코로나19 증상은 발열, 기침 및 근육통, 구토, 설사 순서대로 보일 때가 많아요. 독감 증상은 기침, 콧물, 발열, 근육통, 구토 순서일 확율이 높아요. 열이 나기 전에 기침이나 콧물 증상이 보인다면 계절성 독감으로 생각할 수 있어요. 단, 코로나 또는 독감 증상 순서가 무조건 옳은 것은 아니에요.

 

 

 


 

간혹, 코로나 감염 환자 중에서 발열 보다 기침이나 미각 및 후각 상실 증상이 먼저 보일 때도 있어요. 코로나는 독감 증상과 유사하게 두통이나 어지러움증, 흉통, 피로감 등을 동반 할 수 있어요. 독감과 코로나를 구분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없을까요?

 

 

 


 

콧물과 기침 등을 동반하는 독감과 달리 코로나는 미각이나 후각 상실 증상을 보일 때가 많은 편이에요. 만약, 발열 증상과 함께 미각이나 후각이 상실 되는 질환이 먼저 보인다면 코로나 감염을 먼저 의심할 수 있어요. 가정에서 자가 진단키트를 이용해 먼저 검사하고, 양성 반응이 나온다면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 선별진료소를 찾아 PCR 검사를 꼭 받으세요.

 

 

 


 

흔히, 독감 바이러스는 A형, B형, C형 등으로 나눠져요. 인플루엔자 4가 백신은 독감 바이러스 A형 2종과 B형 2종을 합친 차세대 백신으로 잘 알려져 있어요. 차세대 인플루엔자 4가 백신을 맞으면 위와 같은 4종류의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어요. 예전에는 3가 백신 접종률이 높았지만, 요즘은 차세대 4가 백신으로 예방 접종을 시행하고 있어요.

 

 

 


 

65세 이상 어르신, 만 13세 미만 어린이, 임산부,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국가에서 무료로 독감 예방 접종을 시행하고 있어요. 일반인들은 비급여로 접종이 가능하고, 비용은 약 3~4만원 정도로 예방 주사를 맞을 수 있어요. 무료 독감 예방접종은 대부분 위탁 의료기관에서 시행하고, 지역에 따라 약간의 다를 수도 있어요.

 

 

 


 

만 65세부터 69세까지, 만 70세부터 74세까지, 만 75세 이상을 구분하여 접종하는 날짜가 다르기 때문에 꼭 참고해주세요! 어린이 독감 백신 무료는 1회 접종 대상과 2회 접종 대상으로 나눠서 시행해요. 처음이거나 과거 1회만 접종한 생후 6개월부터 만 9세 미만 어린이는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 대상이에요.

 

 

 


 

만약, 과거 예방 접종력이 2회 이상인 생후 6개월부터 만 9세미만, 만 9세이상은 1회 접종 대상자에요. 독감 또는 코로나 백신은 예방 접종을 한다고 100% 효과를 보이는 것은 아니에요. 하지만, 바이러스 감염 시 질병의 위험도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접종 받는 것을 권장해요.

 

 

 


 

독감이나 코로나 예방 접종 후, 부작용으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어요. 예방 접종 부위 통증, 발적, 부종 등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두통, 발열, 설사, 오한, 근육통 등이 보일 때도 있어요. 감기 중에는 독감이나 코로나 백신 접종을 받을 수 없어요.

 

 

 


 

꼭! 컨디션이 좋고 감기 증상이 없을 때 예방 접종하는 것을 적극 추천드려요. 백신 예방 접종을 마친 후에는 잠시 동안 해당 의료기관에 머물러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귀가해주세요. 면역력이 떨어지는 이번 겨울철 예방 접종과 함께 청결한 생활로 건강하게 보내세요.